KimMinJun
Coding Note
KimMinJun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487)
    • ALGORITHM (11)
      • 정렬 (6)
      • 최단경로 (1)
      • 자료구조 (1)
      • 슬라이딩 윈도우 (1)
      • etc (2)
    • Git (5)
    • Web (24)
      • Vanilla JS (13)
      • TS (2)
      • React (7)
      • ETC (1)
    • React 공식문서 (번역, 공부) (11)
      • Quick Start (2)
      • Installation (0)
      • Describing the UI (9)
      • Adding Interactivity (0)
      • Managing State (0)
      • Escape Hatches (0)
    • Next.js 공식문서 (번역, 공부) (3)
      • Getting Started (2)
      • Building Your Application (1)
    • PS (432)
      • 백준 (187)
      • Programmers (105)
      • CodeUp (21)
      • STL (3)
      • 제코베 JS 100제 (50)
      • SWEA (0)
      • LeetCode (65)
    • IT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관리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제코베 JS 100제
  • Level 0
  • js
  • C++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Level 2
  • Level1
  • 그래프
  • 백준
  • codeup
  • tree
  • recursion
  • Level 1
  • LeetCode
  • string
  • 문자열
  • 정렬
  • 수학
  • programmers
  • C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KimMinJun

Coding Note

PS/Programmers

Programmers / Level 2 / 주차 요금 계산하기 / JS

2022. 8. 9. 16:32

문제 설명

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입차) 나간(출차) 기록이 주어졌을 때,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

  • 요금표
기본 시간(분) 기본 요금(원) 단위 시간(분) 단위 요금(원)
180 5000 10 600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차량 번호 내역
05:34 5961 입차
06:00 0000 입차
06:34 0000 출차
07:59 5961 출차
07:59 0148 입차
18:59 0000 입차
19:09 0148 출차
22:59 5961 입차
23:00 5961 출차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누적 주차 시간(분) 주차 요금(원)
0000 34 + 300 = 334 5000 + ⌈(334 - 180) / 10⌉ x 600 = 14600
0148 670 5000 +⌈(670 - 180) / 10⌉x 600 = 34400
5961 145 + 1 = 146 5000
  •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번 차량은 18:59에 입차된 이후,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부터 23:59까지의 입/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이하라면, 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을 초과하면, 기본 요금에 더해서,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마다 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
    • 초과한 시간이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올림합니다.
    • ⌈a⌉ :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 즉, 올림을 의미합니다.

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fees, 자동차의 입/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fees의 길이 = 4
    • fees[0] = 기본 시간(분)
    • 1 ≤ fees[0] ≤ 1,439
    • fees[1] = 기본 요금(원)
    • 0 ≤ fees[1] ≤ 100,000
    • fees[2] = 단위 시간(분)
    • 1 ≤ fees[2] ≤ 1,439
    • fees[3] = 단위 요금(원)
    • 1 ≤ fees[3] ≤ 10,000
  • 1 ≤ records의 길이 ≤ 1,000
    • records의 각 원소는 "시각 차량번호 내역" 형식의 문자열입니다.
    • 시각, 차량번호, 내역은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시각은 차량이 입차되거나 출차된 시각을 나타내며, HH:MM 형식의 길이 5인 문자열입니다.
      • HH:MM은 00:00부터 23:59까지 주어집니다.
      • 잘못된 시각("25:22", "09:65" 등)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차량번호는 자동차를 구분하기 위한, `0'~'9'로 구성된 길이 4인 문자열입니다.
    • 내역은 길이 2 또는 3인 문자열로, IN 또는 OUT입니다. IN은 입차를, OUT은 출차를 의미합니다.
    • records의 원소들은 시각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집니다.
    • records는 하루 동안의 입/출차된 기록만 담고 있으며, 입차된 차량이 다음날 출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같은 시각에, 같은 차량번호의 내역이 2번 이상 나타내지 않습니다.
    • 마지막 시각(23:59)에 입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아래의 예를 포함하여, 잘못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 주차장에 없는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
      • 주차장에 이미 있는 차량(차량번호가 같은 차량)이 다시 입차되는 경우

입출력 예

 

fees records result
[180, 5000, 10, 600] ["05:34 5961 IN", "06:00 0000 IN", "06:34 0000 OUT", "07:59 5961 OUT", "07:59 0148 IN", "18:59 0000 IN", "19:09 0148 OUT", "22:59 5961 IN", "23:00 5961 OUT"] [14600, 34400, 5000]
[120, 0, 60, 591] ["16:00 3961 IN","16:00 0202 IN","18:00 3961 OUT","18:00 0202 OUT","23:58 3961 IN"] [0, 591]
[1, 461, 1, 10] ["00:00 1234 IN"] [1484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요금표

 

기본 시간(분) 기본 요금(원) 단위 시간(분) 단위 요금(원)
120 0 60 591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차량 번호 내역
16:00 3961 입차
16:00 0202 입차
18:00 3961 출차
18:00 0202 출차
23:58 3961 입차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누적 주차 시간(분) 주차 요금(원)
0202 120 0
3961 120 + 1 = 121 0 +⌈(121 - 120) / 60⌉x 591 = 591
  • 3961번 차량은 2번째 입차된 후에는 출차된 내역이 없으므로, 23: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

 

입출력 예 #3

  • 요금표
기본 시간(분) 기본 요금(원) 단위 시간(분) 단위 요금(원)
1 461 1 10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차량 번호 내역
00:00 1234 입차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누적 주차 시간(분) 주차 요금(원)
1234 1439 461 +⌈(1439 - 1) / 1⌉x 10 = 14841
  • 1234번 차량은 출차 내역이 없으므로, 23: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

 

< 내 풀이 >

function solution(fees, records) {
    let answer = [];
    let info = {};
    // 기본 시간, 기본 요금, 단위 시간, 단위 요금
    const [default_time, default_fee, unit_time, unit_fee] = fees;
    
    for(record of records) {
        let [time, car_num, op] = record.split(' ');
        const [hours, minutes] = time.split(':').map(Number);
        // 시간 계산하기 편하도록 분으로 바꾸기
        let time_to_minutes = hours * 60 + minutes;
        
        // 입차
        if(op === 'IN') {
            const last_enter_time = time_to_minutes;
            
            // 처음 들어왔을 경우
            if(!info[car_num]) {
                info[car_num] = {
                    op, // IN or OUT
                    last_enter_time, // 마지막으로 들어온 시간(분으로 환산)
                    stay_time: 0, // 머물렀던 시간
                    fee: 0, // 요금
                }
            }
            // 처음 들어온 경우가 아닐 경우
            else {
                info[car_num].op = op; // op = 'IN'
                info[car_num].last_enter_time = last_enter_time;
            }
            
        }
        // 출차
        else {
            info[car_num].op = 'OUT';
            const stay_time = time_to_minutes - info[car_num].last_enter_time;
            info[car_num].stay_time += stay_time;
        }
    }
    
    Object.values(info).map(el => {
        if(el.op === 'IN') {
            // 입차했다가 출차하지 않은경우 23:59를 기준으로 계산
            const last_time = 23 * 60 + 59;
            const stay_time = last_time - el.last_enter_time;
            
            el.stay_time += stay_time;
        }
        
        let fee = 0;
        
        // 머물렀던 시간이 기본시간 이하인 경우 기본요금으로 책정
        if(el.stay_time <= default_time) fee = default_fee;
        else fee = default_fee + (Math.ceil((el.stay_time - default_time) / unit_time) * unit_fee);
        
        el.fee += fee;
    });
    
    answer = Object.entries(info).sort().map((el) => { return el[1].fee; });
    
    return answer;
}

 

< 다른 사람의 풀이 >

function solution(fees, records) {
    const parkingTime = {};
    records.forEach(r => {
        let [time, id, type] = r.split(' ');
        let [h, m] = time.split(':');
        time = (h * 1) * 60 + (m * 1); // 분으로 환산
        if (!parkingTime[id]) parkingTime[id] = 0;
        if (type === 'IN') parkingTime[id] += (1439 - time);
        if (type === 'OUT') parkingTime[id] -= (1439 - time);
    });
    const answer = [];
    for (let [car, time] of Object.entries(parkingTime)) {
        if (time <= fees[0]) time = fees[1];
        else time = Math.ceil((time - fees[0]) / fees[2]) * fees[3] + fees[1]
        answer.push([car, time]);
    }
    return answer.sort((a, b) => a[0] - b[0]).map(v => v[1]);
}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PS >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 / Level 3 / N으로 표현 / JS  (0) 2022.08.17
Programmers / Level 2 / 거리두기 확인하기 / JS  (0) 2022.08.09
Programmers / Level 1 / 키패드 누르기 / JS  (0) 2022.07.29
Programmers / Level 2 / 문자열 압축 / C++  (0) 2022.02.22
    'PS/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rogrammers / Level 3 / N으로 표현 / JS
    • Programmers / Level 2 / 거리두기 확인하기 / JS
    • Programmers / Level 1 / 키패드 누르기 / JS
    • Programmers / Level 2 / 문자열 압축 / C++
    KimMinJun
    KimMinJun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