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MinJun
Coding Note
KimMinJun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503) N
    • CS (1)
    • Web (25) N
      • Vanilla JS (13)
      • TS (2)
      • React (7)
      • Next.js (1) N
      • ETC (1)
    • Docker (14)
    • Git (5)
    • ALGORITHM (11)
      • 정렬 (6)
      • 최단경로 (1)
      • 자료구조 (1)
      • 슬라이딩 윈도우 (1)
      • etc (2)
    • PS (432)
      • 백준 (187)
      • Programmers (105)
      • CodeUp (21)
      • STL (3)
      • 제코베 JS 100제 (50)
      • SWEA (0)
      • LeetCode (65)
    • IT (1)
    • React 공식문서 (번역, 공부) (11)
      • Quick Start (2)
      • Installation (0)
      • Describing the UI (9)
      • Adding Interactivity (0)
      • Managing State (0)
      • Escape Hatches (0)
    • Next.js 공식문서 (번역, 공부) (3)
      • Getting Started (2)
      • Building Your Application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관리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recursion
  • tree
  • js
  • programmers
  • C
  • LeetCode
  • 정렬
  • C++
  • Level 2
  • codeup
  • string
  • Level 1
  • 수학
  • 백준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제코베 JS 100제
  • Level 0
  • 문자열
  • Level1
  • 그래프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KimMinJun

Coding Note

Docker를 활용해서 Nginx 설치 및 실행하기
Docker

Docker를 활용해서 Nginx 설치 및 실행하기

2025. 7. 30. 17:34

Nginx란?

Nginx는 웹 서버, 리버스 프록시, 로드 밸런서, HTTP 캐시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서버 중 하나이다.

여기서 웹 서버는 HTML 웹 페이지를 렌더링 시키는 역할을 한다.

나머지는 차차 알아보자.

 

Nginx 설치하기

Docker가 설치되어 있다면,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설치해주자.

docker pull nginx

nginx라는 이미지를 docker로 다운받기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해보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docker image ls

nginx라는 이미지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Nginx 실행하기

이미지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컨테이너 환경에서 설치되고 실행된다고 했다.

위에서 nginx 이미지를 설치했으니, 한 번 실행해보자.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로 실행할 수 있다.

docker run --name webserver -d -p 80:80 nginx

 

명령어는 사용하면서 점차 익숙해지겠지만,

간략하게 무슨 의미인지 한 번 알아보자.

 

먼저, 새로운 컨테이너를 생성해서 실행하라는 명령어이다.

docker run

 

그 다음으로, 컨테이너의 이름을 'webserver'로 지정해준다.

--name webserver

 

모드를 지정해줄 수 있는데, 'detached' 모드로 실행해준다.

터미널을 차지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해 주는 것이다.

-d

 

만약, detached 모드로 안해주면 터미널에 로그들이 뜬다.

 

그 다음으로 어디서 실행할지 포트를 지정해주어야 한다.

왼쪽에 있는 80은 내 컴퓨터(호스트)의 80번 포트이고,

오른쪽에 있는 80은 컨테이너 내부의 80번 포트이다.

즉, `http://localhost:80`으로 접속하면,

컨테이너 안의 Nginx 웹 서버(80번 포트)에 접속하게 된다.

-p 80:80

 

마지막으로 nginx 이미지를 사용해 컨테이너를 생성해준다.

nginx

 

 

 

실행까지 마치고,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80`으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호스트 컴퓨터, 즉 지금 내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하게 된다.

지금은 nginx 이미지를 사용한 컨테이너만 있지만,

여러 컨테이너가 있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게 내가 실행한 것이 맞는지 확인하고 싶을 수 있다.

그러면 다음 명령어로 현재 실행중인 도커 컨테이너의 목록을 볼 수 있다.

docker ps

IMAGE에 nginx,

PORTS에 80번에서 80번 포트로 접속,

NAMES에서 지정한 이름까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정지하고 싶다면,

우리가 설정해준 'webserver' 라는 이름을 활용해서 다음 명령어로 정지시킬 수 있다.

docker stop webserver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이미지 조회 / 삭제하기  (0) 2025.07.31
도커 이미지 다운로드 하기  (0) 2025.07.30
Docker 설치하기 (Mac OS)  (3) 2025.07.30
Docker란?  (1) 2025.07.30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도커 이미지 조회 / 삭제하기
    • 도커 이미지 다운로드 하기
    • Docker 설치하기 (Mac OS)
    • Docker란?
    KimMinJun
    KimMinJun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