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컨테이너는 호스트 컴퓨터 내부에 있는 각각의 독립된 공간이다.
따라서, 각각 본인의 운영체제, 실행환경, 저장공간 등 본인의 환경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어떤 컨테이너 안의 어떤 파일을 보고싶을 때가 있다.
지금까지는 컨테이너를 조회하고 실행하는데 그쳤지만,
안의 파일들은 어떻게 볼 수 있을까?
컨테이너 접속하기
컨테이너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접속할 수 있다.
docker exec -it [CONTAINTER ID] [컨테이너 내에서 실행할 명령어]
명령어를 하나씩 뜯어보면 다음과 같다.
`docker exec`은 이미 실행 중인 컨테이너 안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사용하는 명령이다.
`-i` 옵션은 컨테이너의 표준 입력을 활성화해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해주고,
`-t` 옵션은 TTY 모드를 활성화해 터미널 세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보통 위와 같이 `-it`로 같이 사용해 터미널 환경을 만들어준다.
마지막으로 `bash`는 bash 셸을 실행해서 쉘 환경에 들어가겠다는 뜻이다.
참고로 TTY는 TeleTYperiter의 약자로,
컴퓨터와 연결된 가상의 터미널, 즉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과 출력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뜻한다.
모두 마친 뒤, `ls`로 파일 리스트를 보면,
여러 폴더와 파일들이 있는데 etc로 들어가주자.
그러면 우리가 설치했던 nginx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nginx로 들어가서 설정파일인 nginx.conf 파일의 코드를 봐보자.
`cat` 명령어를 사용해 위와 같이 내부 코드도 볼 수 있다.
만약 이제 컨테이너에서 나오고 싶으면 간단하다.
`exit`를 입력하면 본인 컴퓨터 환경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다.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 - 1 (2) | 2025.08.06 |
---|---|
도커 볼륨이란? (1) | 2025.08.04 |
컨테이너 로그 조회하기 (1) | 2025.07.31 |
컨테이너 관련 명령어 알아보기 (2) | 202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