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를 왜 배워야 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특정 프로그램을 다른 곳으로 쉽게 옮겨서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이식성' 때문이다.
이러한 이식성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 장점이 보인다.
- 환경 일관성 확보
- 빠른 개발 환경 세팅 및 온보딩
- 배포 환경과 개발 환경의 완벽 동기화
- 의존성/버전 충돌 방지와 격리
- 백엔드/API, DB 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 용이
- 운영 자동화 및 스케일링
하나씩 간단하게 알아보자.
1. "내 PC에서는 되는데?" 문제 해결
Docker는 개발, 테스트, 배포에 필요한 Node.js 버전, 라이브러리, 환경변수 등을 모두 컨테이너 안에 캡슐화한다.
팀원이 각자 다른 OS, Node.js, 패키지 버전을 사용한다고 해보자.
협업 간에 각자 사용하는 버전 차이로 인해서 어떤 사람은 되고, 어떤 사람은 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Docker를 사용하면, 모두 같은 환경을 보장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2. 빠른 개발 환경 세팅 및 온보딩
같은 역할로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지난 프로젝트에서 했던 프로젝트 세팅을 그대로 하고 있는 내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설정된 Docker가 있다면, 소스만 클론 받아서 한 번에 개발 환경 전체를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중간에 새로 들어온 개발자도 복잡한 환경설정 과정 및 온보딩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개발 환경 구축 및 동기화'라는 가장 귀찮고 번거로운 장벽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3. 배포 환경과 개발 환경의 완벽 동기화
Docker 이미지는 로컬과 스테이징, 프로덕션 어디든 똑같이 실행된다.
개발 때 쓰던 이미지 그대로 실제 서버에 배포하기 때문에,
환경 차이로 인한 예상치 못한 배포 장애가 크게 줄어든다.
4. 의존성/버전 충돌 방지와 격리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개발/운영하거나,
레거시/최신 프로젝트가 섞여있을 때도 환경 충돌 없이 독립적 개발이 가능하다.
각각 아예 격리된 컨테이너에서 각각의 작업을 하면 되기 때문이다.
5. 백엔드/API, DB 등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
실제 서비스는 프론트엔드만 단독으로 운영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Redis 등 다양한 컨테이너를 한 번에 띄울 수 있다.
그리고 로컬에서 여러 서비스를 연동하는 테스트를 해야하는데,
Docker가 있으면 실제 운영 서버와 거의 동일한 환경에서 개발 및 테스트가 가능하다.
Nginx와 같은 프록시와 연동해서 로컬에서도 실제 서비스 아키텍처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어서,
협업과 통합 테스트가 매우 쉬워진다.
6. 운영 자동화 및 스케일링
컨테이너는 여러 환경에 손쉽게 복제, 확장, 업데이트, 롤백이 가능하다.
프론트엔드 서버 부하가 늘어나면 컨테이너를 더 띄워 부하 분산을 하면 된다.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이미지 다운로드 하기 (0) | 2025.07.30 |
---|---|
Docker를 활용해서 Nginx 설치 및 실행하기 (1) | 2025.07.30 |
Docker 설치하기 (Mac OS) (3) | 2025.07.30 |
Docker란? (1)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