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 - 2

    지난 포스팅에서 했던 것처럼 MySQL 비밀번호를 설정해주고 run을 해주었다.그리고 bash로 컨테이너에 접속해주었다.2025.08.06 - [Docker] -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 - 1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 - 1MySQL 이미지 다운로드하기도커 컨테이너, 볼륨을 활용해서 MySQL을 한번 실행시켜보자.그 전에, 먼저 이미지를 다운받아줘야 한다.Docker Hub에 들어가서 MySQL 이미지를 먼저 검색해보자.https://hub.dockjun-coding.tistory.com 컨테이너에 접속했으니, MySQL에 접속해주자.다음 명령어로 접속할 수 있다.mysql -u root -p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뜨는데,이전에 설정해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면 된다.비밀번호를 타이..

    Docker로 MySQL 실행시켜보기 - 1

    MySQL 이미지 다운로드하기도커 컨테이너, 볼륨을 활용해서 MySQL을 한번 실행시켜보자.그 전에, 먼저 이미지를 다운받아줘야 한다.Docker Hub에 들어가서 MySQL 이미지를 먼저 검색해보자.https://hub.docker.com/ Docker Hub Container Image Library | App ContainerizationSoftware supply chain Secure Your Supply Chain with Docker Hardened Images Use Docker's enterprise-grade base images: secure, stable, and backed by SLAs for Ubuntu, Debian, Java, and more. Regularly scanne..

    도커 볼륨이란?

    컨테이너가 가진 문제점Docker를 활용하면 특정 프로그램을 컨테이너로 띄울 수 있다.이 프로그램에 기능이 추가되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서 컨테이너를 실행시켜야 한다.이 때, Docker는 변경된 부분을 수정하는것이 아니라,새로운 컨테이너를 만들어서 통째로 갈아 끼워야 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기존 컨테이너를 새로운 컨테이너로 교체하면,기존 컨테이너에 있던 데이터도 같이 사라진다.만약 이 컨테이너가 DB를 실행시키는 컨테이너였다면,DB에 저장된 데이터도 같이 삭제되는것이다. 따라서 컨테이너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면 안 되는 경우에는'볼륨(Volume)'이라는 개념을 활용해야 한다. 도커 볼륨이란?도커 컨테이너에서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이다.볼륨은 컨테이너 자체의 저장 공간을 사..

    실행중인 컨테이너 내부에 접속하기

    개요컨테이너는 호스트 컴퓨터 내부에 있는 각각의 독립된 공간이다.따라서, 각각 본인의 운영체제, 실행환경, 저장공간 등 본인의 환경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어떤 컨테이너 안의 어떤 파일을 보고싶을 때가 있다.지금까지는 컨테이너를 조회하고 실행하는데 그쳤지만,안의 파일들은 어떻게 볼 수 있을까? 컨테이너 접속하기컨테이너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접속할 수 있다.docker exec -it [CONTAINTER ID] [컨테이너 내에서 실행할 명령어]명령어를 하나씩 뜯어보면 다음과 같다.`docker exec`은 이미 실행 중인 컨테이너 안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사용하는 명령이다.`-i` 옵션은 컨테이너의 표준 입력을 활성화해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해주고,`-t` 옵션은 TTY 모드를 활성화해 터..

    컨테이너 로그 조회하기

    개요로그(log)는 굉장히 중요한 정보이다.흔히 디버깅 할 때, 디버깅 툴도 많이 이용하지만,간단히 디버깅 하기 위해서는 `console.log()` 같은 명령어도 많이 이용했다.지금 이 글을 작성하기 전까지 왜 `console.print()`가 아닌 `console.log()`일까라는 생각을 못해봤다.정말 단순히 콘솔에 '로그'를 남긴다는 의미이다. '로그', 즉 '기록'을 남기면서그 기록으로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디버깅을 하는것이다. 컨테이너도 마찬가지로,이 컨테이너가 잘 실행되고 있는지,혹은 에러가 났는지 알기위해서 로그를 읽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우리는 사실 이미 로그를 봤다.`docker run -d nginx` 명령어는 background에서 실행하는 명령어였다. 그런데, `-d` 없이..

    컨테이너 관련 명령어 알아보기

    개요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동안 알아보지 않고 무작정 썼던 명령어들을 조금 자세히 알아보려 한다.컨테이너와 이미지 생성, 삭제 등 이미 모두 해보았지만,명령어의 각 옵션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자. 컨테이너 조회하기컨테이너를 조회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다음 명령어를 사용했었다.docker ps여기서 중요하게 알아야 할 것이 있다.위 명령어는 모든 컨테이너를 조회하는 것이 아니라,'실행중인 컨테이너'를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아래 명령어는 위 명령어와 뭐가 다를까?docker ps -a여기서 `-a` 옵션을 붙였는데, 'all'의 약자라고 생각하면 된다.실행중인 컨테이너, 중지된 컨테이너 '모두' 포함해서 조회하는 명령어이다.STATUS를 보면 'Exited'라고 되어있는데,중단된 컨테이너를 의미한다. 컨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