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Priority Queue (우선순위 큐) / JS

    // PriorityQueue에 삽입 될 자료구조 class QElement { constructor(element, priority) { this.element = element; this.priority = priority; } } class PriorityQueue { constructor() { this.queue = []; } // element, priority 삽입 enqueue(element, priority) { const qElement = new QElement(element, priority); let isContain = false; for(let i=0; i qElement.priority) { // i번째에 삽입 this.queue.splice(i, 0, qElement); i..

    백준 / Graph - Kruskal / 1922번 / 네트워크 연결 / JS

    문제 도현이는 컴퓨터와 컴퓨터를 모두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려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허브가 있지 않아 컴퓨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여야 한다. 그런데 모두가 자료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모든 컴퓨터가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a와 b가 연결이 되어 있다는 말은 a에서 b로의 경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에서 b를 연결하는 선이 있고, b와 c를 연결하는 선이 있으면 a와 c는 연결이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왕이면 컴퓨터를 연결하는 비용을 최소로 하여야 컴퓨터를 연결하는 비용 외에 다른 곳에 돈을 더 쓸 수 있을 것이다. 이제 각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주어졌을 때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최소비용을 출력하라. 모든 컴퓨터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는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컴퓨..

    JSX

    JSX JSX는 JavaScript Xml 을 의미한다. 결국 HTML은 XML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JS 안에 HTML 을 갖고 있는 형태를 띄는 것이다. 하지만 코드는 이렇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보는 화면 뒷단에서 변환과정을 거친다. 좀 더 브라우저 친화적인 코드로 변환시킨다. 이 변환된 코드를 크롬의 개발자도구의 Source 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nst element = Hello, world!; 위의 코드는 JSX의 한 예시이다. 리액트의 생김새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문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통 리액트에서 UI 디자인 시에 같이 많이 쓰인다. 또다른 예시를 보자. function App() { return ( Let's get started! ); } export defau..

    리액트 설치

    리액트를 설치하기전, node.js 설치가 필요하다. node.js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순서대로 진행해보자. npx create-react-app 프로젝트명 본인은 코딩애플 강의를 보고 참고하여 blog라는 프로젝트명을 가진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성공하면 위와 같은 프로젝트 폴더 구조를 가진다. App.js가 메인페이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위의 사진은 node_modules의 디렉토리 구조이다. 구동에 필요한 모든 라이브러리들의 소스코드를 모아놓은 폴더이다. (너무 많아서 사진은 중간에서 잘랐다) 위의 사진은 public의 디렉토리 구조이다. html 파일, 이미지 파일등을 잠깐 보관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곳이다. static 파일 보관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직접적으로 코드를 짜는 곳이다. App.js..

    Floyd-Warshall Algorithm (최단경로)

    이 알고리즘은 플로이드 알고리즘, 로이-워셜 알고리즘, 로이-플로이드 알고리즘, 또는 WFI 알고리즘으로 알려져 있다. 알고리즘 Floyd-Warshall 알고리즘은 그래프에서 지날 수 있는 모든 경로를 비교한다. 시간 복잡도는 O(n^3)으로, 코드로 짜면 3중의 중첩 반복문을 가진다. 노드i에서 노드j까지 가는 방법은 2가지 중 하나일 것이다. (중간에 k란 노드가 있다고 하자) i에서 바로 j로 가는 경우 i에서 k를 거쳐 j로 가는 경우 위 2가지의 경우의 수 중에서 최단경로가 결국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값이 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loyd(i,j,k) = min(i에서 j로 가는 최단거리, i에서 k로 가는 최단거리 + k에서 j로 가는 최단거리) 코드로 나타내면 아래와같..

    백준 / 최단경로 - Floyd Warshall / 11403번 / 경로 찾기 / JS

    문제 가중치 없는 방향 그래프 G가 주어졌을 때, 모든 정점 (i, j)에 대해서, i에서 j로 가는 경로가 있는지 없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 (1 ≤ N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 줄에는 그래프의 인접 행렬이 주어진다. i번째 줄의 j번째 숫자가 1인 경우에는 i에서 j로 가는 간선이 존재한다는 뜻이고, 0인 경우는 없다는 뜻이다. i번째 줄의 i번째 숫자는 항상 0이다. 출력 총 N개의 줄에 걸쳐서 문제의 정답을 인접행렬 형식으로 출력한다. 정점 i에서 j로 가는 경로가 있으면 i번째 줄의 j번째 숫자를 1로, 없으면 0으로 출력해야 한다. 예제 입력 1 3 0 1 0 0 0 1 1 0 0 예제 출력 1 1 1 1 1 1 1 1 1 1 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