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전관리

    Git CLI - 버전관리

    버전관리의 시작 현재 디렉토리에 버전관리를 시작하고 싶다면 "git init ." 을 입력하면 된다. 끝에 붙는 .은 현재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위를 수행하게 되면 .git 폴더가 생성되는데, 그 폴더로 버전을 관리하기 때문에 지우면 안된다. 버전의 생성 Repository : 버전이 저장되는 곳 Working Tree : 아직 버전이 만들어지기 전단계, 파일을 수정하는 곳 Staging Area : push 하기 전에 우리가 작업한 모든것을 push 하는것이 아니라, Staging Area에 버전으로 만들것을 올려놓고, 그것을 push하게 됨 git status :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 git add "파일명" : "파일명"을 스테이지에 올린다. git commit -m "~" : 스테이지에 올라와 ..

    GIT1

    GIT의 3대 목적 버전관리 백업 협업 그리고 이 3가지의 목적은 순서가있다. 앞의 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뒤의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앞의 것은 그것만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많다. 하지만 뒤의 것은 앞의 것에 의존하고 있는 기능이다 앞의 것일수록 쉽고 뒤로 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어려워진다 따라서 앞에서 오래 머물수록 좋다. 버전관리 우리가 만약 hello.txt 라는 파일에 천줄짜리 텍스트가 있다고 해보자. 그리고 다음날 새로운 천줄짜리 작업을 해야하지만, 전으로 돌아갈수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우리는 보통 hello.txt를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하여 hello2.txt를 생성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그 다음날 또 작업을 해야한다면 우리는 천줄을 또 추가하고 hello3.txt를 만들것이다. ..